장기 전세주택의 새로운 정의
- 운영자

- 2024년 4월 10일
- 2분 분량
단순한 주택 정책을 넘어 사회적 문제 해결 도구로 활용
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안정적인 주거 기회 제공
사회 통합과 공동체 형성에 기여

◈기존 정의
무주택 세대에게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전세료로 최장 20년까지 거주 기회 제공
주택 가격 상승과 전세난 완화 정책
◈새로운 관점
1.세대 간 주거 불평등 완화: 청년 세대의 주거 불안정 문제 해결
2.주거 안정을 통한 사회적 안전망 강화: 저소득층, 청년층, 여성 등 취약 계층의 삶 개선
3.지역 공동체 형성: 다양한 계층의 입주를 통한 공동체 활성화
4.도시 재생 및 균형 발전: 도시 쇠퇴 지역에 장기전세주택 공급을 통한 지역 활성화
5.주택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: 공공임대주택의 한계를 뛰어넘는 주거 복지 정책

◈장기전세주택의 핵심 가치
장기적인 거주 안정: 최장 20년의 거주 기간으로 안정적인 생활 환경 제공
저렴한 전세료: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전세료로 주택 부담 완화
공공 임대주택의 장점: 분양주택과 동일한 품질, 시설 관리, 주택담보대출 가능
장기 전세주택은 시프트(shift)라고도 하며 주거 안정을 위해 도입된 주택정책으로 임대료 없이 보증금만 납부하여 주변 전세 시세의 80% 이하로 저렴하게 입주할 수 있습니다.
기본 계약은 2년이며, 2년마다 재계약을 통해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게 되어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의 분쟁조정 대상이 되어 불합리한 임대차 계약 조건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. 청약자에 대한 주택담보대출, 주택마련저축상품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합니다.
◈장기전세주택의 종류로는
서울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(LH)에서 공급하는 '일반 장기전세주택'
재개발·재건축 사업으로 발생하는 '공공임대주택(장기전세형)'
민간 임대주택을 정부가 매입하여 '공급하는 일시분양주택(장기전세형)'
장기전세주택은 기존 정의를 넘어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지닌 정책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습니다.

세대 간 불평등 완화, 사회 안전망 강화, 지역 공동체 형성, 도시 재생 등 사회 전반에 걸쳐
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정책입니다.
◈장기전세주택 신청 시 참고 사항
-소득 및 자산 제한: 신청자의 소득과 자산이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.
-지역 제한: 신청자의 주소지 또는 근로지가 해당 지역에 있을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.
-가구원 제한: 가구원 수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.
-청약 경쟁률: 장기전세주택은 인기가 높아 경쟁률이 높을 수 있습니다.
장기전세주택은 저렴한 가격에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주택 정책이지만, 신청 자격 조건 및 경쟁률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.
◈장기전세주택 신청 방법
LH 청약플러스: 온라인 또는 LH 지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서울주택도시공사: 온라인 또는 서울주택도시공사 지사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지자체 공고: 각 지자체에서 별도로 공고하는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

댓글